본문 바로가기
필요한 정보

악플러의 뇌는 어떻게 작동할까? 전두엽과 편도체의 역할

by 하루정보아범 2025. 5. 6.
반응형

 

 

 

요즘 인터넷 댓글 보면 속상할 때 많으시죠? 아니 화가 치밀어 오르죠?😔 끊이지 않는 악플, 도대체 왜 사람들은 남에게 상처 주는 말을 멈추지 못할까요? 오늘은 이 궁금증을 뇌과학으로 풀어보려 해요. 우리 뇌 속 전두엽 편도체가 악플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얼마나 불쌍한 사람인지 알려 드릴게요

 

📌 악플 습관, 뇌의 '이성 브레이크(전두엽)' 고장과 '감정 폭주(편도체)', 그리고 '쾌감 중독'의 합작품이에요!

 

🧠 전두엽 – 우리 뇌의 ‘브레이크’ 🚦가 흔들린다?

우리 뇌 앞쪽에 있는 전두엽은 마치 자동차의 '브레이크' 같은 역할을 해요.

  • 주요 기능:
    • 상황 판단 및 계획 수립
    • 충동적인 말과 행동 억제 (핵심 역할!)
    • 사회적/도덕적 행동 조절
  • 악플 상황에서의 문제점:
    • 스트레스나 익명성 환경에서 전두엽의 통제력이 약해질 수 있어요.
    • 충동 조절 기능이 저하되어, 생각 없이 감정적인 말을 쏟아낼 가능성이 커져요.
    • 결과: 전두엽의 '브레이크'가 약해져 부적절한 악플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.

 

 

 

🔥 편도체 – 감정과 공격성의 ‘엔진’이 과열된다?

뇌 깊숙한 곳에 있는 편도체는 '감정 엔진' 또는 '경보 시스템' 역할을 해요.

  • 주요 기능:
    • 공포, 분노, 혐오 등 강렬한 부정적 감정 처리
    • 위험 감지 시 즉각적인 반응 유도
  • 악플 상황에서의 문제점:
    • 악플러의 경우, 편도체가 일반인보다 더 쉽게, 더 강하게 활성화될 수 있어요.
    •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이성(전두엽)보다 감정이 앞서게 돼요.
    • 결과: 부정적 감정에 휩싸여 공격적인 댓글로 표출될 가능성이 높아져요.

통제 제어 불가

 

😵‍💫 쾌감과 중독 – 악플이 ‘습관’이 되는 뇌과학적 이유?

악플 행동이 반복되는 데에는 '도파민'이라는 뇌 속 물질이 관련되어 있어요.

  • 도파민과 악플:
    • 도파민은 즐거움, 보상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이에요.
    • 놀랍게도, 남을 공격하거나 비난하는 악플을 달 때도 도파민이 분비되어 쾌감을 느낄 수 있어요.
  • 중독의 메커니즘:
    • 반복: 악플로 쾌감을 느끼는 경험이 반복되면, 뇌는 이를 '보상받는 행동'으로 학습해요.
    • 내성: 더 강한 자극(더 심한 악플)을 추구하게 돼요.
    • 무뎌짐: 행동에 대한 죄책감이나 부정적 감정은 점점 줄어들어요.
    • 결과: 악플 행동이 마치 게임이나 쇼핑 중독처럼 굳어질 수 있어요.

 

 

💔 공감 능력의 불균형 – 알지만 느끼지 못하는 고통?

악플러는 공감 능력에서 독특한 패턴을 보일 수 있어요.

  • 두 가지 공감 능력:
    • 정서적 공감: 상대의 감정을 함께 느끼는 능력 (마음으로 공감 ❤️)
    • 인지적 공감: 상대의 생각이나 입장을 머리로 이해하는 능력 (머리로 이해 🧠)
  • 악플러의 특징 (가능성):
    • 정서적 공감 능력은 낮아서, 타인의 고통을 잘 느끼지 못할 수 있어요.
    • 인지적 공감 능력은 높아서, 어떻게 하면 상대에게 상처를 줄지 잘 알 수 있어요.
  • 결과: 타인의 아픔에 둔감해지고, 더 날카롭고 상처 주는 댓글을 거리낌 없이 작성하게 될 수 있어요.

차단이 답이다

마무리: 어짜피 악플다는 애는 이글을 안봐요 본인 이야기 인줄 모른다.

읽어야 할 사람은 항상 이자리에 없어요

  • 악플러 뇌 핵심 요약:
    • ① 전두엽의 조절 기능 약화
    • ② 편도체의 감정 과잉 반응
    • ③ 도파민으로 인한 중독성 쾌감 추구
    •  공감 능력의 불균형
  • 우리의 노력:
    • 차단하기
반응형